분류 전체보기30 진균(Furgus)와 항진균제의 작용 1. 진균 진균(Fungus)은 곰팡이나 효모균의 형태로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한 종류이다. 버섯이나 곰팡이 등이 대표적인 균류 생물이며 동물계와 식물계와 함께 생태계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내뿜으면 동물이 호흡을 통해 생명을 유지한다. 균류의 경우 죽은 동식물을 양분 삼아 분해하는 분해자의 역할을 한다. 특이하게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 진핵생물이지만 식물처럼 복잡한 섬유소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래서 자체적으로 양분을 만들 수 없으며 균사라는 것을 생성하여 효소를 분비해 양분을 흡수하며 살아가게 된다.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둘 다 가능하다. 균사는 유동성이 없기 때문에 수백만개의 포자를 생성해 퍼뜨리는 것으로 생존한다. 이를 무성생식으로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진균은 기.. 2024. 2. 12. 비타민B군 (Vitamin-B) 의 종류와 효능 1. 비타민B군 비타민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하루 필요량을 충족할 수 있을 만큼 합성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질과 기능에 따라 비타민에 알파벳 기호가 붙는다. 그 중에서 비타민B군에는 여러 비타민이 속해 있다. 비타민B군에 속하는 비타민들은 주로 체내에서 세포의 물질대사를 돕는 조효소의 역할을 한다. 비타민 B군의 경우 물질대사 기능 증진과 보조, 피부와 근육 조직 유지, 면역 작용 증진과 혈구 세포의 성장에 효과가 있다. 비타민C와 같은 수용성 비타민이라 체내에서 배출이 빠르고 화학구조가 약하여 잘 부서져 결핍증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어느 하나만 결핍되어도 기본적으로 생리기능에 장애를 받게 된다. 비타민 B12의 경우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는다. 보통 김이나 해조류 같은 수산물을 섭취하므.. 2024. 2. 12. 면역학: 항생제 내성의 종류와 내성균의 종류 1. 항생제 내성균 항생제 내성이란 세균을 억제하기 위해 투여한 항생제와 세균이 접촉해도 억제되지 않고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내성도 여러 체계로 구분되는데 스스로를 보호하는 보편내재내성, 특정 물질에 대해서만 내성을 가지는 특수내재내성, 내성유전자의 수평전달을 통해 나타나는 획득내성(acquired resistance) 세균이 이미 보유한 유전자에 기인하는 내재내성(intrinsic resistance)으로 구분한다. 또 감염 경로를 따라 지역사회 감염과 의료시설 관련 감염으로 나뉘는 등 문제가 되는 균이 다양하다. 내재내성(intrinsic resistance)에는 2가지로 나누어진다. 보편내재내성(general intrinsic resistance)은 세균은 몸에 투입된 항생제에 대응하여 다양한 스.. 2024. 2. 12. 항생제의 역사와 내성 1. 항생제 (Antibiotics) 항생제는 미생물에 의하여 만들어진 물질로 환자가 세균으로 인한 감염을 보일 때 원인이 되는 세균의 감염을 억제하고 죽이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항균제(antibacterial agents)와 항미생물제제(antimicrobial agents)와 혼용되어 쓰기도 하는데 항생제와는 다르다. 감기, 인후염, 독감 등 바이러스를 억제하지 않는다. 2. 항생제의 역사 항생제는 나무껍질이나 토근, 곰팡이 등에서 얻은 추출물 등 자연으로부터 항생 효과가 있는 물질을 자연으로부터 채취하여 사용해 왔다는 기록이 있다. 1910년경 P. Ehrlich는 유기 합성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salvarsan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매독 치료에 사용되었다. 이는 화학요법으로 질병을 치유하는 최.. 2024. 2. 11.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